티스토리 뷰

반응형

허위정보 유통 책임 추궁···"

의회 공격도 빅테크 플랫폼서 시작"
CEO들 즉답 피하자

예, 아니오 요구 질문 쏟아내며 압박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최고경영자(CEO)가 25일(현지시간) 미 하원 원 에너지상업위원회의 화상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잭 도시 트위터 최고경영자(CEO)가 25일(현지시간) 미 하원 원 에너지상업위원회의 화상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최고경영자(CEO)가 25일(현지시간) 미 하원 원 에너지상업위원회의 화상 청문회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구글, 페이스북, 트위터 등 미국 대형

테크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이

미 하원 청문회에서 허위정보와

극단주의 콘텐츠 유포 책임과 관련해

집중 질타를 받았다.

 


25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

잭 도시 트위터 CEO, 구글 모회사

알파벳의 순다르 피차이 CEO는 이날

'극단주의 및 허위정보 조장과

소셜미디어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하원 에너지상업위원회가 화상으로

연 청문회에 참석해 5시간

동안 의원 질의에 답했다.


의원들은 이들 세 기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허위 정보,

혐오 표현, 극단주의 콘텐츠 등

확산에 대한 책임을 충분히 지지

않는다고 몰아붙였다. 지난 1월6일

발생한 의사당 난입사태도 이들

플랫폼이 허위정보에 제대로

대처하지 않았기 때문에 발생했다는

취지의 질의가 이어졌다.


마이크 도일 의원은 “당시 군중이

의사당을 훼손할 동안 우리는

도망쳐야 했다”면서 “그날 공격과

이를 선동한 움직임은 당신들의

플랫폼에서 시작하고 자라났다”고

지적했다. 의원들은 출석한 CEO들에게

의사당 난입사태에 대한 책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으면서

“예, 아니요로만 답하라”고 압박했다.

 


이에 도시 CEO는 "예"라고 말하면서도

"더 폭넓은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피차이는 알파벳이 책임감을

느낀다면서도 “복잡한 질문”이라며

말을 흐렸고 저커버그는 “페이스북이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축할 책임이

있다”며 즉답을 피했다.


그러자 의원들은 예 또는 아니오의

답을 요구하는 질의를 쏟아내며

이들을 더욱 강하게 압박했다.

전날 저커버그는 청문회 출석을 앞둔

서면 답변서에서 ‘통신품위법’(CDA) 

230조 개정과 관련해 플랫폼 업체가

자체적으로 불법 콘텐츠를 삭제하는

대안을 제시했다. 통신품위법 

230조는 이용자가 올린 댓글

등 콘텐츠와 관련해 소셜미디어

기업들에 책임을 묻지 않는

면책 조항을 담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자신의 트윗에 트위터가

‘근거 없는 주장’이라는 딱지를

붙이자 이 조항 폐지를 추진했고,

현재 의회에서 개정안이 논의되고 있다.

 

 

 

반응형
댓글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8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